[노년의 마음에 새겨볼 좋은 글]
이 세상에 일단 태어난 사람은 예외 없이 누구나 다 가난하던, 부자 던, 지위가 높건, 낮건 예외 없이 나이를 먹으면서 노인으로 변해 갑니다.
산전수전을 다 겪으면서 그렇게 어쩔 수 없이 노인으로 늙어 가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늙더라도 반듯하고 곱게 늙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학(大學)을 보면, 중국 고대 은나라 "탕(湯)"이라는 임금은 제사때 손을 씻기 위한 세수 대야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좌우명(座右銘) 하나를 적어 놓고, 곱게 늙기 위한 노력을 늘 멈추지 않았다는데
그 좌우명의 내용을 보면,
“구일신(苟日新)이어든 일일신(日日新)하고, 우일신(又日新)하라.”는 말로써 “진실로 새로운 삶을 살려면, 나날이 새롭게 하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반듯한 노인으로 늙기 위해서는 이미 새로워진 것을 바탕으로 더욱 더 새로워져야 하는 노력을 한 순간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하니,
그런 의미에서 나이 들면서 꼭 마음에 새겨두어야 할 몇 가지를 열거해 봅니다.
01. 노인이라는 것은 벼슬도 자격도 아니다.
02. 가까운 사이라고 해도 아무 말이나 해서는 안 된다.
03. 남의 일에 입을 여는 것은 삼가야 한다.
04. 남이 해 주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
05. 신세타령을 해서 좋을 것은 하나도 없다.
06. 빈정대는 것은 바보라고 하니 절대 삼가야 한다.
07. 무슨 일이든 스스로 해결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08. 의사가 매정하게 대한다고 서운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09. 일반적으로 자기가 옳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10. 죽은 뒤의 장례나 묘소에 관한 걱정을 해서는 안 된다.
11. 늙었다는 이유로 대접받으면 반드시 감사를 표해야 한다.
12. 남에게 일을 시켰으면 나서지 말고 조용히 지켜봐야 한다.
13. 남이 나에게 해준 위로의 말을 그대로 남을 비난하는 근거로 옮기지 말아야 한다.
14. 잘 잊어버리거나, 다리 힘이 없다는 것을 핑계 삼으면 안 된다.
15. 평균수명을 지나고 나서는 교단이나 선거에 나서면 안 된다.
16. 새로운 기계가 나오거든 열심히 배우고 익히도록 노력해야 한다.
17. 입 냄새, 몸 냄새를 조심하여 향수를 종종 써야 한다.
18. 화초만 키우지 말고 머리를 쓰는 일도 해야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19. 자기가 사용한 것을 버리는 습관을 몸에 붙여야 한다.
20. 옛 이야기는 대충 대충 끝내도록 해야 한다.
나이 들면서 꼭 마음에 새겨야 한다는 글을 보고 나니, 문득, "정철(鄭澈)"의 시조(時調) 하나가 생각나네요!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울까? 늙기도 서럽거늘 짐조차 지실까?"
정말 늙기도 서럽거늘 어찌 이리도 지켜야 할 것들이 갈수록 많아지는 것일까? 곱고 반듯하게 늙으려면 오늘도 일일신(日日新) 우일신(又日新)하여야지요!!..
- 받은 메일 옮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