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silver) 인생(人生) 100세(歲)까지]
이제 고령화(高齡化) 사회(社會)가 되면서 우리는 80세, 90세, 100세 까지 살수가 있다는 희망(希望)이 현실화(現實化) 되어 가고 있다.
이는 곧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인간(人間)은 본래(本來) 100세 내지 125세 까지 살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왜 본래 수명(壽命)보다 일찍 죽을까? 생명(生命)을 단축(短縮)시키는 주원인(主原因)은 대부분 나쁜 생활방식(生活方式)에서 비롯된다.
1. 첫째: 가장 중요(重要)한 것은 식생활(食生活)이다.
과식이나 편식, 화학물질의 영향이 생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을한다. 이 세상에 과식이 원인이 되어
죽는 것은 인간과 동물 밖에 없다고 한다. 인간은 맛있는 것을 먹고자 하는 본능적 욕구를 억제하기가 힘들다.
전 세계에서 100세 이상 사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아무거나 잘 먹고 식사량은 정량의 80% 정도만 규칙적으로 먹고, 주로 야채를 많이 먹으며 부지런히 움직이는 것이다.
과식은 지방을 축적하는 원인이 된다. 낮에는 열심히 일하고 밤에는 휴식을 취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최근 젊은 세대를 보면 낮과 밤 따라서 저 지방, 저 칼로리 음식을 먹는것이 장수의 비결이다.
2. 둘 째: 장수의 최대(最大)의 적(敵)은 성인병(成人病)이다.
성인병의 원인은 80-90%가 누적된 스트레스(stress)다. 그러면 스트레스란무엇인가? 그것은 심리적, 생리적으로 일그러진 상태다.
즉, 불안이나 걱정, 욕구불만이나 증오, 질투, 열등감,등의 마이너스(minus) 발상이 여기에 속한다. 이 모든 것이 마음의 병에서 비롯되므로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
3. 셋 째: 밤낮을 거꾸로 사는 생활(生活)을 피(避)해야 한다.
하나님이 우주만물을 창조할 때 낮과 밤이 있게 했고, 반대로 생활하는 것이 마치 그들의 문화인양 널리 보편화되고 있다. 심히 우려되는 현상이다.
4. 넷째: 부족(不足)한 운동량(運動量)이 몸을 녹슬게 만든다.
건강하게 장수하기를 원한다면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근력을 단련시켜야 한다.
최소한, 일주일에 4-5회 30분~60분의 유산소운동(有酸素運動, aerobic exercise:편안한 호흡을 지속하면서 할 수 있는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5. 다섯 째: 건강장수를 위해서는 뇌(腦)의 플러스발상(發想)을 습관화(習慣化)해야 한다.
플러스 발상을 하면 뇌에서 모르핀(morphine)이 분비돼 세포가 활성화된다. 생활방식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
젊음을 유지할 수 있고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대부분 생각대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5 가지를 염두(念頭)에 두고 실천(實踐)하면 뜻을 이룰 수 있다.
- 받은 메일 옮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