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의 괴짜 청년이 개발한 자율주행 자전거
넘어지지 않고 스스로 달릴 수 있는 이른바 자율주행 자전거가 탄생했다. 데모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신기한 자전거를 만든 주인공은 바로 18세에 중국의 IT 명문대학인 전자과학기술대학(University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UESTC)를 졸업하고 지금은 화웨이에서 AI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는 지후이 준(Zhihui Jun)'이다.
지후이 준은 비가 오는 날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져 안면에 부상을 입게 된다. 이를 계기로 그는 넘어지지 않으면서 스스로 달릴 수 있는 자전거를 고안하게 되었다. 그가 개발한 자율주행 자전거의 핵심은 스스로 균형을 유지한 채 자유롭게 움직이는 2륜 자전거라는 점이다.
자전거는 보통 사람이 페달을 굴려 속도를 내며 중심을 이동시켜 균형을 유지한채 달린다. 따라서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으려면 일정 이상의 속도를 내야만 한다. 그런데 이 자전거는 제자리에서도 균형을 유지한채 넘어지지 않고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자전거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원반 회전 모멘트를 이용한 자세제어 모듈 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자세제어 모듈은 인공위성에 적용되는 기술로 소형의 정밀 센서로 기울기를 감지하고 자세제어 모듈이 기울기를 보정해 마치 정지한 듯 똑바로 서 있도록 해준다.
자세제어 모듈의 성능은 자전거를 파이프 난간 위에 세워놓아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나며, 외발 자전거처럼 바퀴 하나를 높이 들어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한 쪽 핸들에 물건을 부착해도 전혀 흔들림이 없을 정도다.
자체 개발한 AI 솔루션으로 자전거 스스로 움직인다
자율주행은 라이다(LiDAR) 센서와 영상 이미지 인식용 카메라 그리고 AI 기술을 적용해 실현시켰다. 자율주행용 AI는 화웨이 애플리케이션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Application Orchestration Service)를 이용해 직접 개발했다.
뒷바퀴에는 전기 모터가 장착되어 있어 페달을 밟지 않아도 AI에 의해 스스로 달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핸들은 톱튜브에 장착된 모터와 와이어를 이용해 제어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영상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 덕택에 다양한 차선과 교통 표지판을 인식해 주행할 수 있으며, 주위 장애물이나 차량, 사람 등을 인식해 스스로 회피해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이 자전거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테스트를 진행하고 검증해야 할 과제가 많다. 그러나 앞으로 자전거도 자율주행 시대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앞으로 지후이 준의 더욱 발전된 자율주행 자전거를 다시 만나보게 되길 기대해 본다. (펌)